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기타 유용한 정보

#2. '고교학점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by 무적 아빠 2025. 3. 16.

#2. '고교학점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무적아빠입니다.

벌써 아이가  중학교 3학년이 되었네요.

먹고살기 바쁘다고 신경을 못써줘서 안타깝지만

지금이라도 챙겨보려 정리해 봅니다.

아직 시간은 있으니까 힘내서 고고!!

 

이번에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1. 고등학교에서 어떤 과정들이 진행되는지

2. 중학교 때는 어떻게 준비를 하면 되는지

공유하겠습니다.

 

<고교학점제>

 

1. 고등학교에서 진행되는 과정

 

 

고등학교에서 1년간 월별로 진행되는 과정을 알아보았으니 참고하세요!

 

 

<2025년>

  ● 3월, 4월

    → 교육과정설명회 진행

 

  ● 5월

    → 교육과정박람회를 통한 과목 안내

    → 과목 선택에 관한 학생 상담 운영

 

  ● 6월 

    → 모든 선택과목 대상 사전 수요조사 진행

    → 담임선생님 또는 진로 선생님을 통한 상담 필요

      - 진로가 결정된 상태가 아닌 경우 진로나 관심분야를 정해야 과목선택 가능

 

  ● 7월, 8월

    → 수요조사 결과 분석

 

  ● 9월, 10월

    → 1차 수강신청 : 수강신청 프로그램을 통해 신청

    → 1차 수강신청 결과 분석

    → 2~3차 수강신청

    → 차년도 교육과정 편제표 확정 (개설 과목 확정 등)

    → 수강학생 편성

 

  ● 11월

    수강신청 변경 기간 및 절차 안내

    → 수강신청 변경 기간 운영

    → 수강신청 변경 완료

    → 차년도 교육과정 확정

    → 교과서 주문

 

  ● 12월, <2026년> 1월, 2월

     수업반 편성

    → 수업 시간표 작성(학생별, 교사별, 교실별)

    → 수업 운영 준비

 

2. 중학교때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중학교때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준비 사항 : 학부모 가이드>

1) 나의 진로 또는 관심분야를 정한다.

  → 학생의 적성과 흥미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진로가 명확하지 않은 학생들은 빨리 '커리어넷'을 통해서 진로를 찾아야 유리하며, 적어도 계열정도는 정해야 함

    ☞ 커리어넷 사이트 링크 : https://www.career.go.kr/cnet/front/main/main.do

    - 인문, 사회, 자연, 의학, 예체능, 교육, 공학

    - 7개 계열에서 나는 무슨 과를 선택할 것인지 또는 어느 과에 관심이 있는지 정도는 알아야 함

 

2) 나의 진로나 관심분야에 해당하는 과목들을 찾아본다.

 

3) 나의 진로나 관심분야에 맞게 내가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을 몇 개 정리해 본다.

 

4) 그 대학들에서 나의 진로, 관심분야와 연관된 계열과 계열 내의 전공을 알아본다.

    (무엇을 배우고, 해당학과 졸업 후 진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본다.)

 

5) 그 전공에서 요구하는 고등학교 교과 과목을 찾아본다.

 

6) 요구하는 과목들이 내가 소속한 지역의 학교에 개설이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학교 알리미' 사이트를 이용해서 검색해 보실 수 있습니다.

      ☞ 학교 알리미 사이트 링크 : https://www.schoolinfo.go.kr/Main.do

      : 교육과정 편성표를 비교해서 고등학교 선택에 활용할 수 있음

        예를 들어, 수학을 싫어하는 학생에게는 수학을 1주일에 4 단위를 공부하는 학교보다는 3 단위를 공부하는 학교를

        선택하는 방법도 있어요.

  → 지역별 편차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 대도시 : 특목고 과정 이수가능

    - 지역소도시 : 개설과목수가 적을 수 있음

 

7) 개설이 안된 과목이 있는 경우 인근 학교나 지자체에 개설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개설이 안되어 있으면 온라인 수강

 

8) 과목을 선택할 때는 기본부터 심화과정까지 졸업 전에 모두 이수하는 방향이 좋을 것 같네요.

 

<알고 있으면 좋을 Tip>

1) 대학에서 요구하는 역량 : 탐구역량

  -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과목은 대학에서 공부하기 위한 기초소양 함양을 위한 과정임

2) 전공연계 교과이수과정 현황도 중요

  - 전문교과를 어려운 것으로 선택해서 들었다고 좋게 평가하지는 않음

  - 희망하는 학과에 해당하는 등급 나오는 과목의 원점수를 보고

    이 학생이 학교생활에서 얼마나 충실하게 이수했는지를 평가

    ※  등급이 나오는 과목 :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진로선택과목

 

3) 성적 산출 : 기존 9등급제에서 5등급 제로 변경이 되나

    고1부터 고3까지 등급경쟁을 해야 한다. 

  - 변별력이 낮아지면 수능 최저를 더 강하게 볼 수 있고,

    면접과 특히, "학생부의 기록"이 중요함

 

4) 독서 후 독서록 작성

  - 독서가 부족하면 문제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해서 시험을 제대로 못 보는 경우가 있음

 

 

우리 아이들이 잘 준비해서 원하는 꿈을 이룰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길 바라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